
[출처: 중앙일보] 서울시 공유서비스 어디까지 써봤니…이용률 1위는 ‘따릉이’
서울시 공유도시 정책·서비스 중 공공자전거인 ‘따릉이’의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. 서울시는 서울에 사는 19세 이상 59세 미만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12월 2~6일 ‘2019 공유도시 정책 인지도’를 조사해 24일 발표했다.
서울시 공유도시 정책은 물건·공간·재능 등의 자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도시 문제를 해결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일컫는다. 이 정책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지도는 62.7%로 지난해 59.6%보다 올랐다. 또 응답자의 98.8%가 서울시 공유정책 중 한 개 이상을 들어본 적 있다고 답했다.
사업별 인지도는 ▶공공자전거 따릉이(95.2%) ▶카셰어링 나눔카(71.6%) ▶주차장 공유(53.6%) ▶공공 데이터 개방(33.2%) 순으로 높았다. 서울시 공유 정책·서비스를 한 가지라도 이용해본 시민은 응답자의 59.6%였다. 이 중 따릉이 이용률이 44.5%로 가장 높았다. 지난 1년 동안 이용 횟수는 공공 데이터 개방이 평균 25.2회로 가장 많았다. 따릉이는 13.4회, 주차장 공유는 10회였다.
만족도는 아이 옷과 장난감 공유 정책이 96%로 가장 높았다. 따릉이(93.6%)와 공공 데이터 개방(89.9%), 주차장 공유(89%)가 그 뒤를 이었다. 서울시민은 서울시 공유정책·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로 편리한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·장소(65.4%), 간단한 이용 절차(43.3%), 경제적 이익(39.7%)을 꼽았다.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불편한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·장소(35.4%),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(31.1%), 홍보 부족(24.2%) 등으로 나타났다.
이런 공유 정책이 삶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느냐는 질문에는 81.1%가 긍정적 대답을 내놨다. 또 앞으로 따릉이(81.8%), 공공 데이터 개방(74.6%), 공구 대여소(73.9%) 순으로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고 답했다.
최은경 기자 choi.eunkyung@joongang.co.kr
[출처: 중앙일보] 서울시 공유서비스 어디까지 써봤니…이용률 1위는 ‘따릉이’